스페인 청정환경에서 도토리만 먹고 자란 토종 흑돼지, 세계 4대 진미, 한우에 버금가는 돼지고기 등 이런 수식어들은 모두 이른바 프리미엄 돼지고기 이베리코 설명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문구들인데요. 과연 이베리코는 정말 우리가 아는 것처럼 비싼 값어치를 자랑하는게 맞을까요?
1. 이베리코 열풍의 시작
우리나라 사람들의 삼겹살 사랑은 전세계에서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별난 편입니다. 유독 삼겹살 소비 비중이 높은 대한민국 식문화 특성상, 한국에서 사육되는 돼지들은 삼겹살을 가장 많이 생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종자개량이 이뤄졌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국산 삼겹살은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까지 오게됐네요. 2021년 기준 한국은 전세계 16개국으로부터 삼겹살을 수입했으며, 한해 전체 삼겹살 소비량 가운데 49%가 수입산 삼겹살이었다고 하니, 진짜 삼겹살을 사랑하는 민족이 맞긴 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삼겹살의 높은 인기속에서 2011년 FTA 이후 2010년대 중후반 국내 외식업소 중심으로 퍼져나가기 시작한 이베리코, '도토리 먹고 자란 방목 흑돼지', '세계 4대 진미', '스페인산 토종 흑돼지' 등등 다양한 수식어로 불리우며 많은 사람들에게 고급 돼지고기로 각인되기 시작합니다.
2. 이베리코라고 다 같은 이베리코가 아닐 지어니, 이베리코 등급
- 베요타 : 50~100% 순종 이베리코, 17개월 이상 사육 및 사육기간중 3개월 이상 방목하고 도축전 도토리 급여
- 세보 데 깜뽀 : 50~100% 이베리코 교배종으로 12개월 이상 사육 및 2개월간 방목
- 세보 : 50% 이상의 잡종돈, 10개월 이상 사육하며
실제로 국내에서 사육되는 돼지들은 6개월간 사육후 도축되는 반면, 이베리코 돼지들은 최소 10개월 이상 사육되기 때문에 육향이 다른 품종에 비해 월등히 진하고, 지방함량이 높으며, 마블링 또한 좋은게 사실입니다. 정작 문제가 되는건 과장광고 때문인데요.
사실 이베리코는 ▲혈통 ▲사육기간 ▲방목유무 ▲먹이 등 4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3가지 등급으로 분류됩니다.
가장 최상등급으로 꼽히는 베요타 등급의 이베리코는 100% 순종 이베리코 암컷과 수컷의 교배종 혹은 50% 이상 순종이라는 혈통 기준과 17개월 이상 사육, 최소 3개월 이상 방목, 출하전 도토리'만' 급여하는 방식인 돼지를 베요타 등급으로 분류합니다.
다음 등급인 세보 데 깜뽀는 100% 순종 이베리코 암컷과 세보 수컷등 50~100% 이베리코 교배종으로 12개월 이상 사육하며, 사육기간내 2개월동안 방목하며, 출하전 도토리와 일반사료를 함께 먹입니다.
마지막 등급인 세보는 100% 순종 이베리코 암컷과 듀록 등 50% 이상 이베리코 잡종돈으로 10개월 이상 사육하며, 방목없이, 일반사료만 먹여서 사육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당이나 마트내 정육코너에서 별도의 등급표기없이 '이베리코'로 취급되는 돼지고기들은 대부분 세보종일 가능성이 98.9583% 확률에 가깝습니다. 그러니 굳이 등급표기 없는 이베리코를 드실 바에야 집에서 국산 삼겹살 구워먹는 편이 더 좋다고 할 수 있겠네요 :-)
'골방버핏이 들려주는 시사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습기 살균제 사건.. 그 이후 10년 (0) | 2022.04.26 |
---|---|
대만의 경제력, 19년만에 한국 뛰어넘을 전망 (0) | 2022.04.25 |
청년월세지원사업 지원대상/지원조건/지원금액/신청시기 총정리 (0) | 2022.04.23 |
2023년 군인 월급 200 현실화되나? (0) | 2022.04.19 |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준비하기, 캐나다 워홀 신청 (0) | 2022.04.16 |
최근댓글